'PX_JOIN_FILTER'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09.09 Bloom Filter와 Group By의 관계 10
  2. 2008.10.12 Parallel Query 의 조인시 또다른 튜닝방법(Parallel Join Filter) 6

이전에 Parallel Query 의 조인시 또다른 튜닝방법(Parallel Join Filter) Partition Access Pattern 이라는 글에서 Bloom Filter의 개념을 설명한적 있다. 이전 글들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많은 사람들이 Parallel Query를 사용하거나 Partition을 엑세스 할때 Bloom Filter로 후행 테이블의 건수를 줄여 조인 건수를 최소화하는 것으로만 생각한다. 맞는 말이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Parallel Partition에 상관없이 Bloom Filter가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을 통하여 풀고자 하는 오해는 Bloom FilterJoin 최적화를 위한 후행 테이블의 Filter 알고리즘일 뿐만 아니라 Group By를 최적화하는 도구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실행환경: Oracle11gR2, Windows 32bit

 

Bloom Filter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먼저 Bloom Filter가 발생하지 않게 힌트를 주고 실행한다. 뒤에서 Bloom Filter를 적용한 경우와 성능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SELECT /*+ LEADING(c) NO_MERGE(S) NO_PX_JOIN_FILTER(S) */

       c.cust_id, c.cust_first_name, c.cust_last_name,

       s.prod_cnt, s.channel_cnt, s.tot_amt

  FROM customers c,

       (SELECT   s.cust_id,

                 COUNT (DISTINCT s.prod_id) AS prod_cnt,

                 COUNT (DISTINCT s.channel_id) AS channel_cnt,

                 SUM (s.amount_sold) AS tot_amt

            FROM sales s

        GROUP BY s.cust_id) s

 WHERE c.cust_year_of_birth = 1987

   AND s.cust_id = c.cust_id ;

   

------------------------------------------------------------------------------------------------------

| Id  | Operation                     | Name              | A-Rows |   A-Time   | Buffers | Used-Mem |

------------------------------------------------------------------------------------------------------

|   0 | SELECT STATEMENT              |                   |     23 |00:00:06.58 |    5075 |          |

|*  1 |  HASH JOIN                    |                   |     23 |00:00:06.58 |    5075 | 1194K (0)|

|   2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 CUSTOMERS         |    151 |00:00:00.01 |     148 |          |

|   3 |    BITMAP CONVERSION TO ROWIDS|                   |    151 |00:00:00.01 |       2 |          |

|*  4 |     BITMAP INDEX SINGLE VALUE | CUSTOMERS_YOB_BIX |      1 |00:00:00.01 |       2 |          |

|   5 |   VIEW                        |                   |   7059 |00:00:06.56 |    4927 |          |

|   6 |    SORT GROUP BY              |                   |   7059 |00:00:06.54 |    4927 | 9496K (0)|

|   7 |     PARTITION RANGE ALL       |                   |    918K|00:00:02.80 |    4927 |          |

|   8 |      TABLE ACCESS FULL        | SALES             |    918K|00:00:00.95 |    4927 |          |

------------------------------------------------------------------------------------------------------

 

Predicate Information (identified by operation id):

---------------------------------------------------

   1 - access("S"."CUST_ID"="C"."CUST_ID")

   4 - access("C"."CUST_YEAR_OF_BIRTH"=1987)

 

Id 기준으로 8번에서 Buffers 항목을 보면 전체건(4927 블록) Scan 하였다. 그리고 A-Rows 항목을 보면 Sales 테이블에 대해 약 92만건(918K)을 읽었다. 이제 Id 6번을 보자. 전체 건수인 92만건에 대하여 Sort Group By를 적용하는데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간상으로도 Group By를 하는데 3.7초 정도 걸렸으며 PGA 9496K나 사용하였다. 즉 대부분의 시간을 Sort Group By Operation 에서 소비한 것이다.

 

이제 위의 SQL Bloom Filter를 적용해 보자. Sales 테이블에 파티션이 적용되어 있으나 파티션과 상관없이 Bloom Filter가 적용된다.

 

SELECT /*+ LEADING(c) NO_MERGE(S) PX_JOIN_FILTER(S) */

       c.cust_id, c.cust_first_name, c.cust_last_name,

       s.prod_cnt, s.channel_cnt, s.tot_amt

  FROM customers c,

       (SELECT   s.cust_id,

                 COUNT (DISTINCT s.prod_id) AS prod_cnt,

                 COUNT (DISTINCT s.channel_id) AS channel_cnt,

                 SUM (s.amount_sold) AS tot_amt

            FROM sales s

        GROUP BY s.cust_id) s

 WHERE c.cust_year_of_birth = 1987

   AND s.cust_id = c.cust_id ;

   

 

-------------------------------------------------------------------------------------------------------

| Id  | Operation                      | Name              | A-Rows |   A-Time   | Buffers | Used-Mem |

-------------------------------------------------------------------------------------------------------

|   0 | SELECT STATEMENT               |                   |     23 |00:00:00.15 |    5075 |          |

|*  1 |  HASH JOIN                     |                   |     23 |00:00:00.15 |    5075 | 1197K (0)|

|   2 |   JOIN FILTER CREATE           | :BF0000           |    151 |00:00:00.01 |     148 |          |

|   3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 CUSTOMERS         |    151 |00:00:00.01 |     148 |          |

|   4 |     BITMAP CONVERSION TO ROWIDS|                   |    151 |00:00:00.01 |       2 |          |

|*  5 |      BITMAP INDEX SINGLE VALUE | CUSTOMERS_YOB_BIX |      1 |00:00:00.01 |       2 |          |

|   6 |   VIEW                         |                   |     55 |00:00:00.14 |    4927 |          |

|   7 |    SORT GROUP BY               |                   |     55 |00:00:00.14 |    4927 |88064  (0)|

|   8 |     JOIN FILTER USE            | :BF0000           |   7979 |00:00:00.12 |    4927 |          |

|   9 |      PARTITION RANGE ALL       |                   |   7979 |00:00:00.10 |    4927 |          |

|* 10 |       TABLE ACCESS FULL        | SALES             |   7979 |00:00:00.09 |    4927 |          |

-------------------------------------------------------------------------------------------------------

 

Predicate Information (identified by operation id):

---------------------------------------------------

   1 - access("S"."CUST_ID"="C"."CUST_ID")

   5 - access("C"."CUST_YEAR_OF_BIRTH"=1987)

  10 - filter(SYS_OP_BLOOM_FILTER(:BF0000,"S"."CUST_ID"))

 

Bloom Filter를 사용해보니

위의 실행계획에서 Id 기준으로 8번을 보면 Name 항목에 Bloom Filter가 사용되었다. Bloom Filter의 위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살펴보자. 먼저 Sales 테이블을 Full Table Scan 하였으므로 Buffers 4927Bloom Filter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똑같다. 하지만 Bloom Filter가 적용되어 92만건이 아닌 7979(A-Rows 참조)만 살아남았다. 이처럼 Bloom FilterHash Join Probe(후행) 집합에서 조인에 참여하는 건수를 줄임으로써 Join 시간을 단축시킨다. Bloom Filter의 효과는 이것이 끝이 아니다. 건수가 줄어듦으로 해서 Sort Group By 작업 또한 92만 건이 아니라 7979건만 하면 된다. Group By에 의한 PGA 사용량을 Bloom Filter가 적용된 실행계획과 비교해보면 100배 이상 차이가 나는 이유도 Bloom Filter의 효과 때문이다.

 

제약사항

이번에 test한 케이스는 Parallel Query도 아니며 Partition Pruning과도 관련이 없다. 하지만 항상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유는 세 가지 제약사항이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Hash Join을 사용해야 한다. Sort Merge Join이나 Nested Loop Join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두 번째, Build Input(Driving) 집합에 Filter 조건이 존재해야 한다. 위의 SQL에서는 cust_year_of_birth = 1987 Filter 조건으로 사용되었다. Filter가 필요한 이유는 선행집합의 Filter조건을 후행집합에서 Bloom Filter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 번째, Probe(후행) 집합에서 Group By를 사용해야 한다. 위의 SQL에서도 cust_id Group By를 하고 있다. 물론 후행집합에 Group By가 적용되려면 뷰나 인라인뷰가 필요하다.

 

 

만약 Bloom Filter가 사라져 전체 건이 조인에 참여한다면?

상상하기 싫은 경우지만 Probe(후행) 집합에 Bloom Filter가 사라지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 경우는 Sales 테이블 전체건수( 92만건)가 모두 Hash Join에 참여하게 되므로 성능이 저하될 것이다. 아래의 SQL이 그것인데 위의 SQL에서 NO_MERGE(S) 힌트와 PX_JOIN_FILTER(S)만 뺀 것이다.

 

SELECT /*+ LEADING(c)  */

       c.cust_id, c.cust_first_name, c.cust_last_name,

       s.prod_cnt, s.channel_cnt, s.tot_amt

  FROM customers c,

       (SELECT   s.cust_id,

                 COUNT (DISTINCT s.prod_id) AS prod_cnt,

                 COUNT (DISTINCT s.channel_id) AS channel_cnt,

                 SUM (s.amount_sold) AS tot_amt

            FROM sales s

        GROUP BY s.cust_id) s

 WHERE c.cust_year_of_birth = 1987

   AND s.cust_id = c.cust_id ;

 

-------------------------------------------------------------------------------------------------------

| Id  | Operation                      | Name              | A-Rows |   A-Time   | Buffers | Used-Mem |

-------------------------------------------------------------------------------------------------------

|   0 | SELECT STATEMENT               |                   |     23 |00:00:05.39 |    5075 |          |

|   1 |  SORT GROUP BY                 |                   |     23 |00:00:05.39 |    5075 |75776  (0)|

|*  2 |   HASH JOIN                    |                   |   3230 |00:00:05.37 |    5075 | 1185K (0)|

|   3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 CUSTOMERS         |    151 |00:00:00.01 |     148 |          |

|   4 |     BITMAP CONVERSION TO ROWIDS|                   |    151 |00:00:00.01 |       2 |          |

|*  5 |      BITMAP INDEX SINGLE VALUE | CUSTOMERS_YOB_BIX |      1 |00:00:00.01 |       2 |          |

|   6 |    PARTITION RANGE ALL         |                   |    918K|00:00:02.70 |    4927 |          |

|   7 |     TABLE ACCESS FULL          | SALES             |    918K|00:00:00.94 |    4927 |          |

-------------------------------------------------------------------------------------------------------

Predicate Information (identified by operation id):

---------------------------------------------------

 

   2 - access("S"."CUST_ID"="C"."CUST_ID")

   5 - access("C"."CUST_YEAR_OF_BIRTH"=1987)

 

악성 쿼리변환

힌트를 제거하자 View Merging(뷰 해체)이 발생하여 인라인뷰가 제거되었다. (View Merging이 발생하지 않는 독자는 MERGE(S) 힌트를 추가하기 바란다) 뷰가 없어짐에 따라 후행집합에서 Group By가 없어지고 조인이 끝난 후에 Group By가 발생한다. 후행집합의 Group By가 사라졌으므로 Bloom Filter가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Sales 테이블의 전체건 ( 92만건)이 조인에 참여하게 된다. Bloom Filter가 적용된 경우는 단 55건만 조인에 참여하므로 이 차이는 어마 어마한 것이다. 그 결과 전체 수행시간중에서 Hash Join에서만 절반의 시간을 소모하였다. 즉 잘못된 쿼리변환이 발생하여 Bloom Filter를 죽여버린 것이다. View Merging이 발생할 때 Bloom Filter를 적용할 수 없게되어 비효율이 발생되는지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결론

이번 Test 케이스에서 Bloom Filter의 특징을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Group By 작업량을 최소화 시켜주고 Hash Join 건수를 줄여준다. 이 두 가지 효과가 맞물려 Bloom Filter를 적용한 SQL 0.15초 만에 끝날 수 있는 것이다. 후행 테이블에서 Bloom Filter로 걸러지는 건수가 많을 때 두 가지 작업(Group By, Hash Join) 모두 최대의 효율을 발휘한다. 바꿔 말하면 Bloom Filter로 제거되는 건수가 미미 하다면 사용해선 안된다.

CVM(Complex View Merging)이 발생하면 여지없이 Bloom Filter가 사라진다. CVM 때문에 성능이 저하된다면 NO_MERGE 힌트를 사용하여 뷰를 유지시켜야 한다. Bloom Filter가 사라지는 경우는 이 경우 뿐만 아니다. 11gR2에서 새로 적용된 Cardinality Feedback 때문에 Bloom Filter가 사라지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마지막(세번째) SQL을 최초로 실행시켰을 때와 두번째로 실행시켰을 때 DBMS_XPLAN.DISPLAY_CURSOR의 실행계획이 달라진다면 Cardinality Feedback이 Bloom Filter를 제거시킨것이다. Shared Pool을 Flush하고 두번 연달아 테스트 해보기 바란다. 이런 현상들 때문에 옵티마이져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버전이 올라갈수록 튜닝하기가 쉬워지는것인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Posted by extremedb
,
필자가 7월달에  Parallel Query 의 조인시 Row Distribution 이라는 글을 통하여 Parallel + Join 시에
튜닝방법을 설명 한바 있다.
오늘은 최적의 Parallel Join 을 하기 위하여 또다른 튜닝방법을 제시한다.
필자가 이글을 쓰는 원래의 용도는 사내 DB 컨설턴트 들을 교육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려워도 실망하거나 우울증에 걸리지 말자.
최근 최진실씨 사태등등 해서 심히 걱정된다.^^
Parallel Join Filter 를 설명하려고 하는데 용어설명부터 해야겠다.
왜냐하면 어떤곳에서는 Parallel Join Filter 라고 이야기 하고 또다른 곳에서는 Bloom Filter 라고 하는데
그이유는 알고리즘을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 오라클사의 Burton H. Bloom 이라는 사람이고 이는 1970 년의
일이다.
실제로 실행계획상에 Bloom 의 이름을 따서 필터명이 BF0000, BF0001, BF0003 .... 이렇게 생성된다.
어쨋든 이런사유로 인하여 2개의 용어가 혼용되는데 여기서는 Parallel Join Filter (힌트로는 px_join_filter) 만 사용할것이다.
아래는 테이블 생성 스크립트 이다.
테스트를 위하여 2개의 테이블이 필요하다.

제약사항
 Parallel Join Filter 는 10gR2 이상에서 실행가능함.

테스트용 테이블 생성 스크립트

create table emp_1
as
with a as
(select /*+ materialize */ level + 10000000 as empno,
       chr(mod(level,90)) as big_ename, chr(mod(level,90)) as big_addr
 from dual
 connect by level <= 100000)
 select empno, 
           lpad(big_ename, 3000,big_ename) as big_ename ,
           lpad(big_addr, 3000,big_addr)  as big_addr
 from a ;
 
create table emp_2
as
select * from emp_1 ;

EXEC dbms_stats.gather_table_stats(user,'EMP_1');
EXEC dbms_stats.gather_table_stats(user,'EMP_2');


테이블이 생성 되었으므로 테스트 스크립트를 실행시켜보자.

explain plan for
 SELECT /*+ full(t1) full(t2) parallel(t1 8) parallel(t2 8) leading(t1) use_hash(t2) NO_PX_JOIN_FILTER(t2) */
        *
  FROM emp_1 t1,
            emp_2 t2
 WHERE t1.empno = T2.empno
       and t1.BIG_ENAME > '1'  ;

아래 PLAN 을 설명하기전에 일단 TQ(Table queues) 개념을 알아야 한다.
복잡한 plan 같지만 원리를 알고 나면 간단하게 해석 할수 있다.
TQ 는 processes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TQ 는 여러개의 parallel Slave 를 가진다.
아래 PLAN 을 보면 TQ 가 3개(:TQ10000, :TQ10001, TQ10002 ) 생성되어 있다.(파란색 부분)


--------------------------------------------------------------------------------------
| Id  | Operation               | Name     | Cost (%CPU)|    TQ  |IN-OUT| PQ Distrib |
--------------------------------------------------------------------------------------
|   0 | SELECT STATEMENT        |          | 12132   (1)|        |      |            |
|   1 |  PX COORDINATOR         |          |            |        |      |            |
|   2 |   PX SEND QC (RANDOM)   | :TQ10002 | 12132   (1)|  Q1,02 | P->S | QC (RAND)  |
|*  3 |    HASH JOIN BUFFERED   |          | 12132   (1)|  Q1,02 | PCWP |            |
|   4 |     PX RECEIVE          |          |  3054   (0)|  Q1,02 | PCWP |            |
|   5 |      PX SEND HASH       | :TQ10000 |  3054   (0)|  Q1,00 | P->P | HASH       |
|   6 |       PX BLOCK ITERATOR |          |  3054   (0)|  Q1,00 | PCWC |            |
|*  7 |        TABLE ACCESS FULL| EMP_1    |  3054   (0)|  Q1,00 | PCWP |            |
|   8 |     PX RECEIVE          |          |  3054   (0)|  Q1,02 | PCWP |            |
|   9 |      PX SEND HASH       | :TQ10001 |  3054   (0)|  Q1,01 | P->P | HASH       |
|  10 |       PX BLOCK ITERATOR |          |  3054   (0)|  Q1,01 | PCWC |            |
|  11 |        TABLE ACCESS FULL| EMP_2    |  3054   (0)|  Q1,01 | PCWP |            |
--------------------------------------------------------------------------------------

각 Id 단위의 설명 :
1. Q1,00 의 slave process 들은 emp_1  테이블을 full scan 하면서 t1.BIG_ENAME > '1'  조건을 FILTER
   하였고 process 간의 통신을 위하여 걸러진 데이터를 Q1,02 에 보낸다.
    (Id 기준으로 5~7 이 여기에 해당된다)
2. Q1,02 의 slave process 들은 1번에서 받은 데이터들을 이용해 hash table 을 만든다.
    (Id 기준으로 3~4 가 여기에 해당된다)
3. Q1,01 의 slave process 들은 emp_1  테이블을 full scan 하고 읽은 데이터를 Q1,02 에 보낸다.
    (Id 기준으로 9~11 가 여기에 해당된다)
4.  Q1,02 의 slave process 들은 3번에서 던진 데이터를 받아서 미리 만들어진 hash 테이블을
     검색하면서 조인작업을 진행하고 결과를 Query Cordinator 에 보낸다.
     (Id 기준으로 2~3 이 여기에 해당된다)
5. Query Cordinator 는 각 TQ 로 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취합한후에 결과를 Return 한다.
     (Id 기준으로 0~1 이 여기에 해당된다)

위설명을 도식화 하면 아래그림과 같다.
다만 위의 SQL 대로라면 각 TQ 내의 SALVE 는 8개 여야 하지만 화면관계상 2개로 줄여서 나타 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그림을 보면 무언가 비효율적인 것을 발견하게 된다.
Q1,01 의 모든 SLAVE 들은 Q1,02 의 모든 SLAVE 들에게 똑같은 데이터를 던져서 체크한후에 만족하면
조인에 성공하고 그렇지 않으면 조인에 실패하는 프로세스를 가지게 된다.
위쿼리를 예를들면 사번 10000100을  Q1,02 의 SLAVE 가 8개라면 8번 던져서 1/8 확률로 조인에 성공하면
다행이지만 아예조인에 실패할 확률도 있는것이다.
이런 비효율을 없애는 것이 Parallel Join Filter 이다.
Parallel Join Filter 의 개념은 Q1,01(후행테이블의 TQ) 이 Q1,02 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전에 불필요한
데이터를 걸러 낸다는 것이다.
이제 parallel join filter 를 적용시켜보자.

explain plan for
 SELECT /*+ full(t1) full(t2) parallel(t1 8) parallel(t2 8) leading(t1) use_hash(t2) PX_JOIN_FILTER(t2) */
        *
  FROM emp_1 t1,
       emp_2 t2
 WHERE t1.empno = T2.empno
       and t1.BIG_ENAME > '1'  ;

필자의 연구결과 t1.ename > '1' 등 t1 의 filter predicate 가 없으면 Parallel Join Filter 는 결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럴때는 t1.empno > 0 등의 결과값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filter 조건을 주는 트릭을 생각할수 있다.
또하나의 Tip 은 PX_JOIN_FILTER 사용시 후행테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는것이다.
왜냐하면 아래의 PLAN 을 보면 Filter 의 생성은 t1 에서 하지만(id 가 4번) 사용은 t2 쪽(id 11번)에서
하기때문에 PX_JOIN_FILTER(t1) 을 주면 절대 filter operation 이 생기지 않는다.

---------------------------------------------------------------------------------------
| Id  | Operation                | Name     | Cost (%CPU)|    TQ  |IN-OUT| PQ Distrib |
---------------------------------------------------------------------------------------
|   0 | SELECT STATEMENT         |          | 12132   (1)|        |      |            |
|   1 |  PX COORDINATOR          |          |            |        |      |            |
|   2 |   PX SEND QC (RANDOM)    | :TQ10002 | 12132   (1)|  Q1,02 | P->S | QC (RAND)  |
|*  3 |    HASH JOIN BUFFERED    |          | 12132   (1)|  Q1,02 | PCWP |            |
|   4 |     PX JOIN FILTER CREATE| :BF0000  |  3054   (0)|  Q1,02 | PCWP |            |
|   5 |      PX RECEIVE          |          |  3054   (0)|  Q1,02 | PCWP |            |
|   6 |       PX SEND HASH       | :TQ10000 |  3054   (0)|  Q1,00 | P->P | HASH       |
|   7 |        PX BLOCK ITERATOR |          |  3054   (0)|  Q1,00 | PCWC |            |
|*  8 |         TABLE ACCESS FULL| EMP_1    |  3054   (0)|  Q1,00 | PCWP |            |
|   9 |     PX RECEIVE           |          |  3054   (0)|  Q1,02 | PCWP |            |
|  10 |      PX SEND HASH        | :TQ10001 |  3054   (0)|  Q1,01 | P->P | HASH       |
|  11 |       PX JOIN FILTER USE | :BF0000  |  3054   (0)|  Q1,01 | PCWP |            |
|  12 |        PX BLOCK ITERATOR |          |  3054   (0)|  Q1,01 | PCWC |            |
|  13 |         TABLE ACCESS FULL| EMP_2    |  3054   (0)|  Q1,01 | PCWP |            |
---------------------------------------------------------------------------------------

위 plan 은 원래의 PLAN(filter 적용전 plan) 에서 parallel join filter 부분만이 추가 되었다.(파란색 부분)
1. id 4 에서 parallel Join filter 를 생성(create) 하였고 filter 명은 :BF0000 이다.
2. id 11 에서 생성된 :BF0000 filter 를 사용하였다.

주의사항은  parallel Join filter 를 무조건 사용하지말라는 것이다.
걸러지는 데이터가 별로 없을경우 빨라지지도 않을 뿐더러  filter 부하가 더클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의 2가지 경우에  parallel Join filter 를 사용하여야 한다.
1. 많은양의 데이터가 조인에 실패하는경우
2. 1번을 만족하면서 RAC 에서 multi-node 로 Parallel Query 를 실행한경우.
    이경우는대부분 DOP(Degree Of Parallelism)가 클때 발생하며 추가적인 Network I/O 가 발생하므로
    parallel join filter 를 적용할경우 획기적인 성능향상을 기대할수 있다.

parallel Join filter에 의해서 filter 된 데이터를 보려면 아래와 같이 v$sql_join_filter 뷰를 사용하면된다.

select filtered, probed, proved - filtered as sent
   from  v$sql_join_filter
where qc_session_id = sys_context('userenv', 'sid');

결론 :
Parallel Join distribution 과 Parallel join filter 을 적절히 이용하면 최적화된 Parallel Join Query를 만들수 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꼭필요한 경우에만 이런종류의 힌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편집후기 :만약 parallel Join filter 로직에 관심이 있어서 직접 구현하려면 아래의 1번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Reference :
1.Bloom Filters ( Cristian Anatognini )
2.Oracle Corp Manual (Data Warehousing Guide 11g)

Posted by extremedb
,